'전체 글'에 해당되는 글 93건

  1. 2016.12.09 [mysql] 버전별 컨피그 값
  2. 2016.12.04 [기타] root 계정으로 바로 접근 막기
  3. 2016.12.04 [기타] centos7 싱글모드 진입

[mysql 버전별 컨피그값]


mysql은 버전별로 컨피그 옵션이 다르다.

그렇기 때문에 해당 버전별로 컨피그 옵션을 줘야 설치가 정상적으로 된다.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[mysql 5.5.29 설치]



1) mysql 사용자 및 그룹 추가

# groupadd mysql
# useradd -g mysql mysql

 

2) 소스코드파일 압축해제 및 설치(/usr/local/src/ 디렉토리에 mysql-5.5.10.tar.gz 파일을 저장했다.)

# cd /usr/local/src/

# tar xvfz mysql-5.5.10.tar.gz
# cd mysql-5.5.10

 

cmake -DCMAKE_INSTALL_PREFIX=/usr/local/mysql -DMYSQL_DATADIR=/usr/local/mysql/data -DMYSQL_UNIX_ADDR=/tmp/mysql.sock -DSYSCONFDIR=/etc -DMYSQL_TCP_PORT=3306 -DMYSQL_USER=mysql -DDEFAULT_CHARSET=utf8 -DDEFAULT_COLLATION=utf8_general_ci -DWITH_EXTRA_CHARSETS=all -DENABLED_LOCAL_INFILE=1 -DWITH_INNOBASE_STORAGE_ENGINE=1 -DWITH_ARCHIVE_STORAGE_ENGINE=1 -DWITH_BLACKHOLE_STORAGE_ENGINE=1

 

설명)

mysql 설치 디렉토리는 /usr/local/mysql

mysql DB 디렉토리는 /usr/local/mysql/data

mysql 기본언어셋은 utf8

mysql 사용포트는 3306

 

# make && make install

 

# cp support-files/my-huge.cnf /etc/my.cnf            <---mysql 설정파일 복사

# cp support-files/mysql.server /etc/init.d/mysqld    <---mysql 실행데몬 복사     
# vi /etc/init.d/mysqld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datadir=/usr/local/mysql/data              <---DB디렉토리 지정 하고 저장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# chmod 755 /etc/init.d/mysqld             <---mysql 데몬 실행 권한 부여

# chown -R mysql:mysql /usr/local/mysql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# /usr/local/mysql/scripts/mysql_install_db --user=mysql --basedir=/usr/local/mysql --datadir=/usr/local/mysql/data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<---DB생성

# /etc/init.d/mysqld start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<---mysql 구동 (시작)  또는 /usr/local/server/mysql/bin/mysqld_safe &

# chkconfig --add mysqld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
# /usr/local/server/mysql/bin/mysqladmin -u root password 암호           <---mysql root 패스워드 설정

# ln -s /usr/local/server/mysql/bin/mysql /usr/bin/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<---링크

# ln -s /usr/local/server/mysql/bin/mysqldump /usr/bin/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[mysql 5.0.96]


./configure --prefix=/usr/local/mysql --localstatedir=/usr/local/mysql/data --with-charset=euckr --with-mysql-user=mysql --with-extra-charsets=all --enable-thread-safe-client        -> 언어셋을 utf8로 바꾸고 싶다면 euc_kr부분을 바꿔주면된다.


#make

#make install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[mysql 5.6.14]


# cmake -DCMAKE_INSTALL_PREFIX=/usr/local/mysql -DMYSQL_DATADIR=/usr/local/mysql/data -DMYSQL_UNIX_ADDR=/tmp/mysql.sock -DSYSCONFDIR=/etc -DMYSQL_TCP_PORT=3306 -DMYSQL_USER=mysql -DDEFAULT_CHARSET=utf8 -DDEFAULT_COLLATION=utf8_general_ci -DWITH_EXTRA_CHARSETS=all -DENABLED_LOCAL_INFILE=1 -DWITH_INNOBASE_STORAGE_ENGINE=1 -DWITH_ARCHIVE_STORAGE_ENGINE=1 -DWITH_BLACKHOLE_STORAGE_ENGINE=1            -> 언어셋을 euc_kr로 바꾸고 싶다면 utf8부분을 바꿔주면된다.


# gmake

# gmake install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

'Linux Server > my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mysql] myisam -> innodb 변경  (0) 2017.02.20
[mysql] mysql5.5.29 버전 my.cnf 기본값  (0) 2016.11.15
[mysql] 리플리케이션  (0) 2016.10.31
[mysql] bin 파일 복구  (0) 2016.10.22
[mysql] mysql5.6.14 설치  (0) 2016.09.17
Posted by 실력키우기

[ root 계정으로 바로 접근 막기 ]

 

# vi /etc/pam.d/su        -> 해당 파일 열고 아래내용 수정

 

#auth           required        pam_wheel.so use_uid        -> 해당 라인 주석 해제

 

# groupadd wheel     -> wheel 그룹 생성 (이미 생성되어있을 가능성이 높다.)

 

# chgrp wheel /bin/su        ->  su 명령어를 wheel 그룹에서만 실행할수 있도록 소유자 변경

 

# chmod 4750 /bin/su        -> su 명령어 접근 권한 변경  

 

# usermod -G wheel "계정이름"        -> 계정에 wheel 그룹 추가 (root 권한 얻을수 있는 계정 추가)

 

# vi /etc/ssh/sshd_config         ->  ssh 설정에서 root 로 바로 로그인이 되지 않도록 설정

 

PermitRootLogin yes        -> no 로 변경

 

위와 같이 설정하면 wheel 그룹에 포함된 계정만 su - 명령어를 통해 root 권한으로 변경 가능하다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[ SSH 특정 계정만 접근되도록 설정 ]

 

# vi /etc/ssh/sshd_config        -> 해당 파일 열고 아래내용 수정
AllowUsers les les421          -> AllowUsers 추가 후 옆에 적어준 계정만 ssh 접속이 가능

#PermitRootLogin yes        -> 주석 해제 후 yes 부분을 no로 변경

 

 

 

'Linux Server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기타] path 설정방법  (0) 2017.01.08
[기타] parted 사용법  (0) 2016.12.22
[기타] centos7 싱글모드 진입  (0) 2016.12.04
[기타] ftp설치 하지 않고 ftp 사용법 (sftp)  (0) 2016.11.01
[기타] 강제 umount 하기  (0) 2016.10.11
Posted by 실력키우기

[centos 7 싱글모드 진입]


1



1. 키보드 방향키 위와 아래버튼을 누르다보면 위처럼 커널 선택하는 화면이 나올텐데 저 상태에서  ‘e’ 버튼을 눌러줍니다.




 

2



3

 

2. rhgb quiet를 init=/bin/bash로 변경한후 Ctrl -x를 눌러 싱글모드로 진입합니다.
    CentOS 5 또는 6와는 싱글모드 진입이 변경된것을 알수있습니다. 

#  rhgb quiet 삭제 init=/bin/bash 추가

 


 



6

 

3. / root를 다시 마운트 한후 패스워드를 변경합니다.

# mount -o remount,rw /
# passwd root

 



 

8

 

4. 나머지 두가지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리부팅을 진행합니다.

SELinux 관련 명령어 (다른곳에서도 사용하는것으로 보입니다.)
# touch /.autorelabel   

리부팅 명령어
# exec /sbin/init


 


 출처 - http://idchowto.com/?p=18651

Posted by 실력키우기

블로그 이미지
공 부 하 는 직 장 인
실력키우기

태그목록

공지사항

Yesterday
Today
Total

최근에 달린 댓글